본문 바로가기
반응형

웹개발 독학2

GET 방식에서 URL에 데이터를 전달하는 두 가지 방법 : params, query 지난 포스팅에서 GET 방식은  URL에 요청할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식이라고 정리했었는데요.https://musubi-iroiro.tistory.com/405 GET 방식과 POST 방식 차이(feat. REST)오늘은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. 오픈 API를 활용해 데이터를 가져올 때, 다음과 같이 GET/POST로 구분이 되어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.두 방식의 차이가 뭘까musubi-iroiro.tistory.com오늘은 GET 방식에서 URL에 데이터를 담아 보내는 두 가지 방식에 대해서 알아보려고 합니다. 1. Query(쿼리 파라미터)query 파라미터는 URL의 끝에 ?로 시작하여 여러 파라미터를 &로 구분하여 전달하는 방식입니다. https://e.. 2025. 1. 18.
GET 방식과 POST 방식 차이(feat. REST) 오늘은 GET 방식과 POST 방식의 차이에 대해서 간단히 알아보려고 합니다. 오픈 API를 활용해 데이터를 가져올 때, 다음과 같이 GET/POST로 구분이 되어있는 걸 볼 수 있는데요.두 방식의 차이가 뭘까요? 그 차이를 살펴보기 전에 알아두면 좋은 개념인 REST에 대해서 먼저 알아봅시다.REST란?REST란 HTTP를 통해 데이터를 요청하고 응답하는 방식입니다. 여기서 HTTP란, 서버와 클라이언트 사이에 데이터를 주고 받는 프로토콜, 즉 약속 같은 개념입니다.즉, REST는 HTTP URI(주소)를 통해 자원을 정의하고, HTTP의 Method(GET, POST, PUT, DELETE)를 사용해 정의한 자원에 대한 CRUD(Create, Read, Update, Delete) 연산을 하는 것을 .. 2025. 1. 18.
728x90
반응형